[아침햇발] ‘다스 폭탄’ 터질 것 같은 예감 / 김이택
페이지 정보
본문
다스는 김씨를 상대로 낸 투자금반환소송에서 져 돈을 날리게 되자 김씨 쪽과 협상을 벌였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스위스 은행 계좌에 묶여 있던 김씨 소유의 140억원이 패소한 다스 쪽으로 넘어갔다. 김씨가 대표로 있던 옵셔널캐피털의 주주들은 김씨를 상대로 미국 법원에 소송을 내서 이겼는데, 돈은 엉뚱하게 김씨와의 소송에서 진 다스 쪽으로 보내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스위스 은행의 돈을 건드리지 말라”는 미국 법원의 명령을 어떻게 어겼는지는 미국 연방검찰이 가릴 것이다.
의문은 김씨 남매가 이상하게도 소송에 진 다스에 돈을 넘긴 데서 시작된다. 협상 과정에서 뭔가 ‘당근’이 주어졌을 것으로 보는 게 상식적인 판단이다. 김씨 남매가 미국 법원의 명령을 어기고 처벌의 위험까지 무릅쓰면서 140억원이란 거액을 다스에 넘기지 않을 수 없게 한 ‘당근’의 실체는 무엇일까.
우선 짚이는 게 에리카 김을 검찰이 선처한 대목이다. 옵셔널벤처스 회사자금 319억원을 횡령한 사실을 확인했는데도 “동생이 중형을 살고 있다”는 등 매우 이례적인 이유를 들어 기소유예 처분을 내렸다. 보통 그 정도 횡령액이면 구속은 피할 수 있을지 몰라도 최소한 재판은 받을 가능성이 많은 사안이다. 에리카 김 처지에서 보면, 특별한 보장이 없이는 굳이 귀국해서 검찰 조사를 받을 이유가 없다. “엘에이(LA) 한인사회에서 재기하기 위해서였다”는 게 검찰 설명이지만, 그것만으로는 갑작스러운 귀국의 배경이 설명되지 않는다. 당시, 특별한 근거는 없지만 수감중인 김경준씨의 미국 송환설이 나돌았던 것도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다.
일련의 사건 처리 과정을 돌이켜보면 다스와 김씨 남매 쪽을 연결하는 정교한 시나리오의 흔적이 엿보인다. 이를 연출한 사람 또는 세력이 있다면 아마도 우리 검찰에까지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수 있는 것으로 김씨 남매가 믿을 정도의 인물일 가능성이 크다.
공교롭게도 140억원이 송금되기 20일쯤 전인 지난 1월10일 이 대통령이 출연한 재산으로 설립된 재단법인 청계가 다스의 지분 5%를 취득했다. 대주주이던 대통령 처남 고 김재정씨의 지분을 부인이 기증하는 형식이다. 지분 이동으로 다스의 1대 주주가 이 대통령의 큰형 이상은씨로 바뀌고, 청계재단이 다스의 의사결정에 캐스팅보트를 쥐게 됐다. 지분 5%는 시가 100억원 규모. 아무리 남편의 매형이 대통령이라도 그런 거금을 기부했다면 뭔가 사연이 있을 텐데 아무런 설명이 없다. 이 대통령의 외아들 이시형씨는 지난해 8월 다스에 입사해 경영기획팀장으로 초고속 승진했다. 청계의 임원진은 대학 동기 송정호 변호사, 큰사위 이상주 변호사, 청와대 출신 류우익·박미석 교수 등 모두 이 대통령과 가까운 사람들이다. 다스에 이 대통령이 언제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구조다. 다스의 실소유주 논란을 다시 떠올리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이 대목에서 우리는 옛 기억을 더듬어볼 필요가 있다. 현대자동차에 자동차 시트를 납품하던 중소기업 다스가 2000년 비비케이에 190억원이란 거금을 덜컥 투자했다. 그리고 다스와 비비케이를 처음 연결해준 게 김백준 현 청와대 총무기획관이고, 이에 앞서 김 기획관을 다스에 소개한 사람이 바로 이 대통령이다. 이들은 과연 140억원 송금을 몰랐을까.
청와대는 아직 아무런 말이 없다. 대통령 관련 회사가 미국 연방검찰의 수사를 받는 등 국제적 사건에 휘말렸는데도 대다수 언론이 침묵하고 있다. 폭풍 전의 고요함인가. 아무래도 ‘다스 폭탄’이 곧 터질 것 같은 예감이 든다.
- 이전글못된 짓 골라하는 게 공정사회인가? 11.05.19
- 다음글한인 2세 최초, 하원의원 도전 ‘준 최’ 11.05.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