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박 맛집 방송, 다 거짓이었어?
페이지 정보
본문
대박 맛집 방송, 다 거짓이었어? | |||||||||||||||||||||||||||
[전주국제영화제 학생 리뷰] '트루맛쇼'- 미디어를 벌거벗기는 외침 | |||||||||||||||||||||||||||
| |||||||||||||||||||||||||||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는 다양한 영화들 가운데 현재 한국 사회에서 대중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관심사 가운데 하나인 매체의 ‘맛집’ 소개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관객의 입장에서 살펴 본 학생의 감상평을 통해 살펴보자. 남이 맛있게 먹는 걸 구경하는 게 참 궁상맞은 일인데, 그 궁상맞은 일조차 허상일 때, 이거 참 민망하다. / 편집자 외식 문화에 관심이 많은 이라면 TV에 나왔던 맛집에 찾아 갔다가 적잖이 실망한 경험이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그런 경험이 쌓이고 쌓여 TV에 나온 집이라면 질색부터 하고 보는 사람도 있다. 도대체 TV에 나온 맛집들은 왜 맛이 없을까? MBC에서 PD 생활을 하며 미디어의 불편한 진실을 많이 봐왔다는 김재환 감독의 ‘미디어 3부작’ 기획의 첫 번째 작품 <트루맛쇼>는 그 궁금증을 시원하게 풀어준다. 한 음식점이 방송에 한 번 출연하기 위해 방송사에 내야 하는 돈은 무려 천만 원. 스타의 단골 맛집으로 방송되기 위해선 기본 900만원에 스타의 몸값에 따른 추가 비용을 내야 한다. 방송 컨셉에 맞춰 방송용 메뉴도 급조한다. 이를 위한 맛집 방송 전문 브로커도 존재한다. 손님들도 미리 섭외한다.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연출이다. 그러다 보니 맛집 방송에도 나름의 상투적 표현 기법들이 있을 정도이다. <트루맛쇼>가 맛집 방송의 허상을 폭로하기 위해 택하는 방법은 직접 사기극의 한복판에 뛰어드는 것이다. 제작진은 일산에 ‘몰래 카메라 친화적인 인테리어’의 음식점을 만들어 방송을 유치하면서 그 과정을 보여주고, 맛집 방송에 손님으로 출연하며 그 제작 현장을 몰래 촬영한다. 무려 3년에 걸친 잠복 취재의 결과물들은 재치 있는 편집으로 버무려져 있다. 브로커는 몰래 카메라 앞에서 자신의 날조 내력을 신난 듯이 자랑하고, 영화는 그런 그의 활약상을 편집해서 보여준다.
이쯤 되면 시사교양 방송이 아니라 <트루맛쇼>의 표현대로 ‘시트콤’이다. 감독의 MBC 입사 동기인 박나림 아나운서가 맡은 내레이션은 시종일관 방송사들을 조롱한다. 여태껏 시청자들을 속이며 기만해온 방송들이 이번엔 <트루맛쇼>에게 철저히 속으며 기만당한다. 때문에 분노할만한 진실의 폭로가 이어짐에도 분노보다는 통쾌함이 더 크게 느껴진다. 영화에 등장하는 한 음식 칼럼니스트는 제대로 된 음식 비평이 부재한 까닭에 저질 맛집 방송이 범람한다고 말한다. 또 다른 칼럼니스트는 음식 자체를 즐기기보다는 그저 유명세만 쫓아다니는 일그러진 식도락 문화를 원인으로 지목한다. 하지만 그렇게 단순한 문제일까? 시청률에만 매달리는 방송사, 그 밑에서 경쟁에 내던져지는 PD와 작가들, 성공의 열망에 젖은 수 많은 자영업자들, 구경거리를 원하는 시청자들, 그리고 그들 사이에서 이득을 보려는 브로커들. 맛집 방송이라는 촌극은 이 모든 이들의 욕망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 21세기 한국 사회의 지독한 단면도다. <트루맛쇼>를 보고 누군가는 ‘이미 다 알고 있던 사실 아니었어?’라고 반응할 수도 있다. 맛집 방송의 비밀은 이미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공공연한 비밀이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트루맛쇼>가 단순히 ‘뒷북’만 울리는 영화는 아니다. 영화가 확인시켜주는 진실은 심증과 소문을 아득히 뛰어넘을 정도로 추악할뿐더러, 공공연한 비밀이 더 이상 비밀일 수 없게 수면 위로 드러내는 효과를 가진다.
|
관련링크
- 이전글언론 장막에 갇힌 민심, MB정부의 오판 11.05.06
- 다음글왜 교과서는 원전이 안전하다고만 할까 11.05.04
댓글목록
바보님의 댓글
바보 작성일
전혀 몰랐는데...그동안 완전히 속아왔군요.
그래도 프로 초기에는 사실이었겠지.
나중에 돈을 들고 오는 사람들이 생기니까..점점 변질되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