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북부조국 방문기 32. 개인농이 협동조합으로 진화된 과정 > 통일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통일게시판

나의 북부조국 방문기 32. 개인농이 협동조합으로 진화된 과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강산
댓글 4건 조회 15,476회 작성일 14-12-16 18:03

본문


25 년만에 다시 찾은 북부조국 방문기 32


북의 개인농이 협동조합으로 진화된 과정


나의 하와이에서의 개인농 경험을 통하여 자본주의 사회에서 농사를 지으며 의식주를 해결하고 아이들을 키우고 교육시키면서 여유있게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지난회에서 살펴보았다.  나의 경우 개인농을 하자면 땅을 빌려야 하고, 트랙터와 거기 부착해서 사용하는 각종 농장비들, 그리고 트럭이 있어야 했는데 그런 비용만 해도 5만 달러 정도였으니 그걸 융자로 구입해서 매달 갚아나가는 비용과 농가로 사용하는 주택의 원금과 이자를 갚는 비용을 합하면 매달 2천 달러 정도의 지출을 해야 한다.  비료값과 농약품 값도 많이 드는데다 날씨가 좋을 때 마쳐야 하는 작업을 혼자서는 할 수 없으니 일꾼을 써야 하고,  수확기엔 더 많은 인부를 대어서 추수를 해야 하니 매달 수천 달러가 들어간다.   


농사가 잘 되고 가격이 좋아야만 얼마의 수익을 낼 수 있는데 농사는 개인의 노력으로  어느 정도 잘 짓는다해도 가격은 지난 회에서 거론한대로 절대로 농민들의 뜻과는 관계없이 정해지는 것이었으니 농사가 잘 되어도 가격이 낮으면 먹고 살기에도 빠듯한 것이다.  그래 제대로 된 협동조합이 불가능한 개인농은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결국 모두가 농장을 떠날 수밖에 없게된 것이다.


5490728B34086E0016

만경대협동농장의 남새밭.  뒤로 잘 지어진 농가 아파트가 보인다.



독자들은 잠깐 생각을 돌려서 각자의 고향 마을에서, 혹은 도시가 고향이라면 농사를 짓던 친지들 가운데 지금도 그 농부 혹은 그 자식들이 계속해서 경제성이 있는 가운데 농사를 짓고 있는 사람들이 몇이나 있는지 생각해보길 바란다.  농촌에서 사는 사람은 있어도 농사를 지어서 성공적인 삶을 사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나의 경우 초등학교 동창들 76명 가운데 고향에서 농사를 짓고 있으리라 여겨지는 사람은 한둘 뿐인 것 같다.  그것도 경제성이 있어서 짓는 것이 아니라 도시에 나가서 살아봐야 별 수가 없으니 부업으로 다른 일도 하면서 정든 고향에서 지내는 정도다.


자본주의 제도 아래서 공장들이 그러하듯이 농사도 대량으로 생산하는 몇몇 기업들만 살아남고 나머지는 도태하게 된다.  남한에선 농부들이 서로 경쟁하는 것만으로도 가격하락으로 수익성이 없는 농사인데 농작물 수입을 개방한 이후 해외의 값싼 농산물 수입에 맞서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그런데 이것을 자본주의 경제원리라고 치부하고 그냥 넘어가려는 것에 큰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농민들을 모두 죽이는 것이 큰 문제이고, 이후에 농산물 수입에 차질이 생기게 될 때나 식량무기화로 공급을 하던 나라에서 먹거리 공급을 끊을 때는 그 가격이 폭등하게 되고 모든 민중이 크게 고통을 당하게 될 것이다.  절대로 대부분의 식량을 해외수입에다 의존해서는 안되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이미 남한은 그 길로 가고 있다.  


우리의 주변이 이런 상황인 가운데 북부조국의 협동농장을 살펴보는 것은 아주 의미깊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제 2의 고난의행군' 시절로 큰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 이후 북은 식량이 부족한 문제를 거의 해결한 상태다.  이제 가뭄이나 홍수처럼 외부적인 요인이 있어도 거의 해결해나갈 길을 열어놓았다.  내가 평양을 방문했을 때는 3개월 동안 비가 오지 않았다고 하였는데도 어느 산간벽지에도 가물어서 말라 죽은 농작물을 보지 못했다.  큰 비가 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댐의 수위를 낮췄는데 그 이후에 석 달 동안 비가 오지 않아 수력발전소로 전력을 생산하는데 차질이 있어 도시의 전기사정이 좋지 않을 만큼 가물었는데도 농촌의 들판은 황금물결을 이루었고, 산속의 옥수수는 더욱 푸르렀던 것을 보았다.  



5490D0EC335C790005

만경대협동농장의 남새밭 풍경.  논과 밭이 반반씩이라고 한다.


1970년대에 이미 농촌의 수리화가 완공되었지만 제2의 고난의 행군시절에 천재지변으로 황폐해졌고 그 보수와 정비가 불충분했던 것을 거의 해결해가는 중이며 이제 북은 자연흐름식 물길공사를 진행중이고 천재지변에 충분히 대비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개인농으로는 도저히 불가능한 이런 공사는 협동농장으로 운영하기에 가능한 것이다.  우리는 이제 북의 농촌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제대로 아는 것이 필요하다.  알고나면 도시에 비해서 농촌은 살기 어려운 곳이라는 선입견을 버리게 될 것이다.  내가 평양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거기에 비해서 북에도 시골은 살기 어려운 것이 아니냐고 질문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북은 농촌이 살만 하도록 국가에서 너무도 많은 배려를 하였고, 인민들은 자신의 고장을 잘사는 곳으로 만들기 위하여 엄청난 노력을 기울여온 곳이다.  북의 농촌은 한마디로 자본주의 국가에서 개인농으로 힘겹게 살아가는 농촌과는 크게 다를 수밖에 없는 곳이다.


내가 평양호텔에서 면담을 하며 대화했던 정기풍 교수는 북부조국의 개인농이 어떻게 협동조합으로 진화되어갔는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해주었다.  


6.25 전쟁 이후 북의 농촌 또한 크게 파괴되었다.  무엇보다 농사를 지어야 할 사람들이 많이 죽었고, 그 가운데 남자들이 많이 죽었다.  총각들뿐만 아니라 처녀들도 군대로 나갔고 농촌의 소들도 군대에 징발되었다.  농사지을 땅은 넓은데도 경작할 사람이 적은데다 농가들은 농사를 지을 준비마저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상태였다.  정기풍 교수는 "밭에 범이 새끼를 치게 생겼다"는 말이 나돌았을 정도였다면서 당시의 파괴된 농촌을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농민은 이제 제땅을 소유하는 것에 대해서 해방직후같은 큰 애착이 없어졌다.  땅은 있어도 농사를 지을 수 없다면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다.  무엇보다 농민들이 이제 황폐해진 땅을 다시 일구고 농작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서로 도와야할 필요가 생긴 것이다.


북부조국의 협동농장의 당시의 명칭은 협동조합이고 이후에 협동농장으로 바뀌게 된다.  협동조합은 1953년에 정부가 장려할 무렵 이런 농민들의 필요에 의하여 빠르게 확산되어갔다.  협동조합을 권하면서 농사를 어울려서 같이 짓고, 김도 같이 매도록 하는 한편 협동조합에다 정책적으로 비료나 트랙터를 먼저 지원해주었고 판매까지 지원해주었다.  군대와 노동자들을 동원하여 농사를 돕거나 저수지를 만들어주는 것도 협동조합에 우선적으로 지원했다고 한다.  처음엔 서로 잘 아는 이웃끼리 협동조합을 만들었고 이후에 부락단위로, 그리고 리단위로 협동조합은 커져갔다고 한다.



5490D1AF3A27F1001E

만경대협동농장의 경우 위의 도표에서 1954년에 여기저기 협동조합이 생겨나고 점점 그 규모가 확대되어진 것을 볼 수 있다.  



개인농이 협동조합에 들게 된 것은 그렇지만 어디까지나 자원해서 가입하는 방식이어서 들 사람은 들고 안들 사람은 안들었지만 들지 않고 개인농으로 버티는 것은 결국은 엄청나게 손해가 되는 일이 된 것이다.  심지어 아이들도 협동조합에 부모가 들지 않으면 동무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처음엔 각자의 이기심으로 개인농을 고수하던 사람들도 협동조합의 일이 훨씬 더 편하고 그 수입이 더 높은 것을 깨닫게 되자 너도나도 협동조합에 가입하게 되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북은 1956년 경에 개인농이 모두협동조합으로 바뀌게 되어 인민들이 단결하여 함께 의논하여 농사를 계획하고 힘을 합하여 농사를 짓고 생활터전을 더 좋은 곳으로 바꿔나가는 기초를 완성하게 된 것이다. 


내가 방문기 이번 호의 서두에서 우리사회의 개인농은 농사를 하면서 들어가는 비용이 엄청나기 때문에 가격이 낮으면 농사를 힘들게 지어도 수익이 없어 농장을 떠난다고 하였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내가 내 농사를 짓는데 한마디로 누가 나를 도와주며 또한 도와줄 필요가 있느냐하는 질문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생각해보라.  아무리 내가 돈을 받고 농산물을 팔아도 그 농산물은 다른 사람의 먹을 것이 되어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음식으로 되는 것이 아닌가?  어떻게 국가에서 그 부분을 모른척해서 농민이 토지를 떠나는 것에 무관심할 수가 있는 것인가?   낮은 가격으로 해외에서 대부분의 농산물을 수입하게 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  무역자유화로 농촌이 망해가는데도 아무 손을 쓸 수가 없는 것이 문제가 있어 보이지 않는가?



5490D3FA363B67001A

개인농으로부터 협동조합으로 진행된 이후 수확량 또한 크게 늘어났다고 한다.  자본주의 농촌에서 생산품목과 양을 계획해서 생산하기는 어렵지만 협동농장으로는 그것이 가능하다.



그와 반대로 북부조국이  농촌과 농민에게 지원하는 것은 엄청나다.  내가 거론했던 토지, 트랙터, 연료, 비료, 종자, 노동력, 주택 등등 내 수입의 대부분이 농사를 짓기 위한 비용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그것들 모두를 무료로 국가에서 지원해서 해결해준다면 믿을 수 있겠는가? 그러면서도 농산물 가운데 아주 일부 (알곡의 경우 30%, 남새는 바치는 것이 없음)만 나라에 바친다고 하니 이런데도 북부조국의 농촌이 도시에 비해서 살기 어렵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유치원과 탁아시설을 포함한 교육과 의료 등 사회보장까지 잘 되어 있으니 지금보다 조금 더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겨 더욱 기계화되고 자동화 된다면 북의 농촌과 농민들은 협동농장 혹은 국영농장을 통하여 아무 걱정 없이 더욱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 아닌가?  다음 호에서 협동농장 현장을 둘러보며 실제로 그 돌아가는 형편을 보고 들은대로 이야기하게 될 것이다.


아래 링크에서 저의 방문기 31회와 그 이전의 글들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hanseattle.com/main/bbs/board.php?bo_table=freeboard&wr_id=11642

댓글목록

profile_image

갯가용님의 댓글

갯가용 작성일

상당히 흥미진진하며 다음회가 많이 기다려 집니다.

각 농가들은 협업후 어떻게 배분하게 되는지도 궁금하군요.

profile_image

강산님의 댓글

강산 작성일

갯가용 님, 통합진보당을 해산시킨 소식을 듣고 모두들 맥이 빠지는 날입니다.  참으로 어처구니 없는 일들이 일어나는군요.

profile_image

갯가용님의 댓글

갯가용 작성일

이명박 정권때부터 이미 그리 되기로 예정되어 추진되어왔던 일이므로
갑작스레 놀랄 일은 아니지만 한국이란 나라 자체가 상당히 빠른 속도로
이전 스페인의 프랑코 정권처럼 되어가고 있음이 매우 안타깝다 하겠습니다.

죄가 많은 친구들이 끝까지 죄값을 치르지않고 어영부영 하겠다는 욕심에
죄없는 사람들이 엉뚱하게 고생하며 다치게 되는 상황이 오고있는 바..

일단은 죄많은 놈들이 먼저 승리하는 셈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원래 세상이 그렇게 잔인하다는 것 아니겠습니까.

결국은 또 뒤집어져서 상황이 바뀌게 되겠지만..현 한국 지식인들이
워낙에 나약하고 세뇌가 많이 되어있어 자체적으로 해결되기에는
제법 긴 세월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profile_image

강산님의 댓글

강산 작성일

귀한 말씀입니다.
결국은 세뇌된 것이 문제가 되겠습니다.
통일운동이 활발하게 민중 가운데 퍼져나가 세뇌된 것을 씻는 것도
남부조국의 민주화를 이루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여겨집니다.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Copyright © 2010 - 2023 www.hanseattle1.com All rights reserved.